•  
  •  
  •  
  •  
  •  
  •  
  •  
  •  
  •  
  •  
  •  
  •  
  •  
  •  
  •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r48 vs r49
... ...
38 38
초기 홍보 기사에서 [[고척돔]] 단독 공연인것처럼 언플을 했지만 라인업이 공개되면서 합동 콘서트인게 알려지자 단독 공연으로 인지하고 있던 팬들이 혼란을 겪는 문제가 있었다.[[https://m.fmkorea.com/8232171805|#]]
39 39
[[우왁굳]]은 4월 5일 방송에서 "단독 콘서트는 아니다. 콘서트의 출연 가수로 참가하는 형태인데, 곡도 많이 추가됐으니 지난 콘서트보다는 '''단독 콘서트 느낌'''이다." 라고 정정했다.
40 40
하지만 이 해명 또한 합동 콘서트에 참여하는 다른 아티스트를 존중하지 않는 듯한 발언이 되어 여초 아이돌 팬덤에서 크게 논란이 되었다.[[https://theqoo.net/square/3686656485|더쿠]][* 220 : 이세돌이 고척을 단독으로 채운다는게 일단 팬들 특유의 자아비대고 그리고 또 반대로 '''이세돌 단콘급이다라고 먼저 말해버리면 나머지 라인업 가수들은 이세돌 들러리해주러 감..?'''][* 228 : 가격도 존나 말도 안되고 라인업도 다 안 띄우고ㅋㅋㅋㅋ 언플은 ㅇㅅㄷ 단콘처럼하고 뭐임? 그리고 팬들은 라인업 뜬 가수+ 라인업 궁예로 누가 언제 오면 급이 되고 누구는 급이 안 되고 ㅈㄹ 좀 그만하길 그렇게 급이되면 3일 내내 나오던가][* 229 : 댓글 되게 예의 없네 '''이세돌 혼자 잘 채우면 단독 콘 할것이지''' 혼자는 채우는데 다른 돌들 나와서 못 채운다 대놓고 걱정 할거면 합동콘을 왜 하는 거 ㅋ 우리는 그걸 못 채운다고 한다][* 238 : 얘네 사장이랑 팬들 다 존나 예의없더라. 이세계 페스티벌이라 자기들 이름걸고 하는거면서 페스티벌치고도 비싼가격에 금토일도 아니고 목금토ㅋㅋ그것도 유일주말인 토요일은 자기들 헤드라이너로 공개해놓고 다른 라인업 품평질하고 가격뜨니까 이세돌로 단콘해도 채우는데 왜 다른 가수들 부르냐 그러고 셋리가 사실상 자기들 단콘 수준이라는 말을 사장이 함ㅋㅋㅋ '''이래놓고 목금빼고 자기들 나온 토요일만 매진됐다고 백퍼 자랑질해대겠지'''][[https://archive.md/7nX3E|@]]
41
==== 페스티벌의 이해도가 낮은 행사 준비 ====
42
통상적으로 2~3일 동안 열리는 음악 페스티벌은 아티스트들을 비슷한 성향으로 묶어 2~3개의 스테이지로 라인업을 구성한 뒤, 관객들이 원하는 스테이지를 선택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관객들은 잘 모르는 아티스트의 공연이더라도 돗자리에 앉아 편하게 음식을 먹고 마시며 즐기는 문화가 형성되어 있다.
43
44
하지만 이번 페스티벌은 돔 공연 특성상 스테이지를 분리할 수 없고, 돗자리석이 없는 전 좌석 지정석으로 관객들의 이동이 자유롭지 않다. 또한 공지에 따르면 공연장 내에서 물 이외의 음료나 음식 섭취가 금지되기 때문에 기존의 편안하게 먹고 마시며 즐기는 페스티벌 분위기는 불가능하다. 관객들은 8시간 동안 한 자리에 앉아 공연을 봐야 하며, 고척돔 내 상가에 관객들이이 심각하게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45
==== 지나치게 높은 티켓 가격 ====
46
1일 VIP석 가격이 25만원으로 책정된 것도 문제로 지적되었다. 이는 전례가 없던 가격으로, 2025년 고척돔에서 개최된 SM타운 합동 콘서트[* 라인업 : 강타, 보아, TVXQ!, 슈퍼주이어, 소녀시대, 샤이니, 엑소, 레드벨벳, NCT 127, NCT DREAM, WayV, aespa, RIIZE, NCT WISH]의 VIP석 가격이 198,000원인 것과 비교했을 때, 이세계 페스티벌의 가격은 1.25배 더 비싸다.
47
아무리 호화로운 라인업을 구성하더라도, 관심 없는 가수의 공연을 몇 시간 동안 불편한 좌석에서 관람하는 것은 관객 입장에서 고통스러운 경험이 될 수 있다. 이 때문에 합동콘서트의 티켓 가격은 단독콘서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책정된다.
48
49
단독 콘서트와 비교했을 때, 25만원이라는 가격은 콜드플레이 내한[* 지정석 P석 25만원]과 건즈 앤 로지스 내한[* 스탠딩 VIP석 242,000원]과 비슷한 수준이다. 최근 블랙핑크 단독콘서트에서 가장 비싼 좌석이 275,000원에 책정되어 [[https://news.nate.com/view/20250408n25712|여론의 질타를 받은 사례]]를 고려하면, 관객들의 반발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이다.
50
51
특히, 양일권, 3일권, 얼리권 등의 할인 티켓이 전혀 제공되지 않았으며, 페스티벌에 익숙한 사람들 중 일부는 3일 동안 25만원이라는 가격이 적용된다고 착각하기도 했다.
52
53
또한, 12만원에 해당하는 4층석의 가격에 의문을 가지는 사람들도 존재한다. 고척 스타디움의 경우, 수평적으로 좁아 위로 높은구조의 관중석을 가지는데 이로 인해 콘서트를 관람하기 부적절 하다는것.
54
||<-2><tablealign=center><tablewidth=450><nopad>[[파일:고척돔경사.jpg]]||[[파일:고척돔경사1.jpg]]||
55
||<-9> 해당 구장의 4층 관중석[* 일명 '''하느님''' 석] 전경 ||
56
57
58 58
==== 부족한 행사 정보 ====
59
라인업 공개부터 주최측의 정보 공개 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59
주최측은연장소와 일자만 공지하고 중요정보를 공하지 않거나 당일 공지하여 관객들에게 큰 혼란을 었다. 주최측의 정보 공개 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60 60
||<tablealign=center><rowbgcolor=#0397e9><rowcolor=#ffffff> 4.5(토) || 4.6(일) || 4.7(월) || 4.8(화) || 4.9(수) || 4.10(목) || 4.11(금) ||
61 61
||<|2> 라인업 1차 공개[* [[파일:이세페2025_1차라인업.png|width=300]]][br](18팀 미공개) ||<|2> ||<|2> ||<|2> || 라인업 2차 공개[* [[파일:이세페2025_2차라인업.png|width=300]]][br](8팀 미공개) ||<|2> '''티켓팅 오픈[br](1차)''' ||<|2> ||
62 62
|| 좌석배치도 공개 ||
... ...
73 73
일반적인 페스티벌의 경우, 지정석이 아니기 때문에 전체 라인업이 확정되지 않더라도 헤드라이너만 보고 예매를 해도 큰 문제가 없다. 그리고 페스티벌은 넓은 야외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관객을 유동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하지만 본 행사는 [[고척돔]] 실내에서 진행되고, 전좌석이 지정석이기 때문에 라인업이 확정되지 않는다면 관객은 정확한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운에 맡긴 채 티켓팅을 할 수밖에 없다.
74 74
==== 수요 예측 실패로 인한 목요일 공연 취소 ====
75 75
=== 이런 대참사가 발생한 원인(독자연구) ===
76
==== 페스티벌의 이해도가 낮은 행사 준비 ====
77
통상적으로 2~3일 동안 열리는 음악 페스티벌은 아티스트들을 비슷한 성향으로 묶어 2~3개의 스테이지로 라인업을 구성한 뒤, 관객들이 원하는 스테이지를 선택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관객들은 잘 모르는 아티스트의 공연이더라도 돗자리에 앉아 편하게 음식을 먹고 마시며 즐기는 문화가 형성되어 있다.
78
79
하지만 이번 페스티벌은 돔 공연 특성상 스테이지를 분리할 수 없고, 돗자리석이 없는 전 좌석 지정석으로 관객들의 이동이 자유롭지 않다. 또한 공지에 따르면 공연장 내에서 물 이외의 음료나 음식 섭취가 금지되기 때문에 기존의 편안하게 먹고 마시며 즐기는 페스티벌 분위기는 불가능하다. 관객들은 8시간 동안 한 자리에 앉아 공연을 봐야 하며, 고척돔 내 상가에 관객들이이 심각하게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80
==== 지나치게 높은 티켓 가격 ====
81
1일 VIP석 가격이 25만원으로 책정된 것도 문제로 지적되었다. 이는 전례가 없던 가격으로, 2025년 고척돔에서 개최된 SM타운 합동 콘서트[* 라인업 : 강타, 보아, TVXQ!, 슈퍼주이어, 소녀시대, 샤이니, 엑소, 레드벨벳, NCT 127, NCT DREAM, WayV, aespa, RIIZE, NCT WISH]의 VIP석 가격이 198,000원인 것과 비교했을 때, 이세계 페스티벌의 가격은 1.25배 더 비싸다.
82
아무리 호화로운 라인업을 구성하더라도, 관심 없는 가수의 공연을 몇 시간 동안 불편한 좌석에서 관람하는 것은 관객 입장에서 고통스러운 경험이 될 수 있다. 이 때문에 합동콘서트의 티켓 가격은 단독콘서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책정된다.
83
84
단독 콘서트와 비교했을 때, 25만원이라는 가격은 콜드플레이 내한[* 지정석 P석 25만원]과 건즈 앤 로지스 내한[* 스탠딩 VIP석 242,000원]과 비슷한 수준이다. 최근 블랙핑크 단독콘서트에서 가장 비싼 좌석이 275,000원에 책정되어 [[https://news.nate.com/view/20250408n25712|여론의 질타를 받은 사례]]를 고려하면, 관객들의 반발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이다.
85
86
특히, 양일권, 3일권, 얼리권 등의 할인 티켓이 전혀 제공되지 않았으며, 페스티벌에 익숙한 사람들 중 일부는 3일 동안 25만원이라는 가격이 적용된다고 착각하기도 했다.
87
88
또한, 12만원에 해당하는 4층석의 가격에 의문을 가지는 사람들도 존재한다. 고척 스타디움의 경우, 수평적으로 좁아 위로 높은구조의 관중석을 가지는데 이로 인해 콘서트를 관람하기 부적절 하다는것.
89
||<-2><tablealign=center><tablewidth=450><nopad>[[파일:고척돔경사.jpg]]||[[파일:고척돔경사1.jpg]]||
90
||<-9> 해당 구장의 4층 관중석[* 일명 '''하느님''' 석] 전경 ||
91
92
==== 정리중 ====
93 93
우선 요일 선정부터 잘못되었다. 이세계 페스티벌은 목요일부터 토요일까지 3일간 개최되는 것으로 발표하였으나, 목요일과 금요일은 평일이다. 높은 티켓값도 문제다. 가장 싼 티켓이 12만원, 가장 비싼 티켓은 25만원인데 심지어 '''1일권'''이다.
94 94
95 95
결국 두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정말 소수의 인원만이 목,금 공연을 예매할 조건을 충족했다. 높은 티켓값을 낼 수 있는 직장인은 연차를 쓰기 애매하고, 그나마 자유로운 대학생은 높은 티켓값을 낼 수 없으며, 팬덤의 과반수를 차지하는 중고등학생은 티켓값을 낼 수도 없고 시간을 뺄 수도 없다. 주최사가 스스로의 목을 조인 셈.
... ...